김삿갓(김병연)의 생애
김삿갓의 본명은 김병연(金炳淵, 호는 난고蘭皐, 1807-1863)으로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
났다. 평안도 선천부사였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 투항한 죄로 집안이
멸족을 당하게 되자 노복 김성수의 도움으로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에
도망가 살았다. 후일 멸족(滅族)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모친과 함께 곡산을 떠나
할머니가 계시는 광주를 걸쳐 이천, 가평을 전전하다가 강원도 영월에 정착하게 된다.
당시 반역으로 인한 죄는 연좌죄로 가문의 3대를 멸족하는 것이 통례였으나 이들 모자
가 처벌되지 않았던 것은 당시 실권세력이 안동김씨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리하여
이었기 때문에 떳떳한 사대부로는 지낼 수 없었다. 그럼에도 양반가의 기풍을 갖춘 金炳
淵의 어머니는 인적이 드문 산골에 은거하면서 아들에게 틈틈이 글을 가르쳤다.
가문의 내력을 알지 못한 채 학업에만 정진하여 온 김병연은 훗날 영월도호부 과거에
응시하여 [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牛天]이라는 詩題로 장원급제하였다.
뛰어난 글 솜씨로 장원을 하게 된 김병연은 그 후 어머니로부터 집안내력에 대해 전해
듣고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감과 폐족의 자손이라는 주위의 멸시 때문에
20세때 처자식을 둔 채 방랑길을 떠난다.
이때부터 김병연은 죄인으로서 하늘을 똑바로 쳐다볼 수 없다하여 삿갓에 죽장을
짚은 채 돌아다녔다. 금강산을 시작으로 전국 8도를 떠돌았으며 도산서원 근처와
황해도 곡산 등지에서는 훈장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전라도 화순에서 한 많은
삶을 마감하였다(1863년). 이렇듯 그의 생애는 시대에 대한 恨과 원망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가 남긴 여러 편의 詩에서 이러한 그의 심리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근래에 강원도 영월에서 그의 詩碑등 유적복원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동하 이야기 > 문화탐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종의 자취 (0) | 2008.07.29 |
---|---|
부여 국립박물관 특별전을 다녀와서..... (0) | 2008.03.03 |
2007 여름답사 - 5 (용장사) (0) | 2007.08.13 |
2007 여름답사 - 4 (운림산방) (0) | 2007.08.06 |
2007 여름답사 - 3 (쌍계사 안 전통 차방) (0) | 2007.08.02 |